본문 바로가기
경제

[경제뉴스] '지니어스 법안 통과' 미국 회사가 발행하는 스테이블 코인 미래

by 부가람 2025. 3. 26.
반응형

안녕하세요.
2025년 3월 26일 오늘의 경제뉴스 주요 내용을 공유해 드리겠습니다.

 

1. '코인 판' 장악 나선 트럼프, 가상자산 줄줄이 쏟아낸다

https://www.mk.co.kr/news/stock/11273199

 

'코인 판' 장악 나선 트럼프, 가상자산 줄줄이 쏟아낸다 - 매일경제

달러 자산 기반 스테이블코인시장 커질수록 미국 패권 강화트럼프 관련 기업도 발행 추진비트코인 등 주요 코인 묶은ETF 상품 잇달아 상장 예정"현직 대통령이 시장에 관여땐이해충돌 소지 크다

www.mk.co.kr

지난 14일 미국 상원은 '지니어스법안(GENIUS Act)'을 통과시켰습니다. 이 법안은 미국 내에서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려면 반드시 연방정부의 승인을 받아야 하고, 스테이블코인의 가치는 발행한 코인의 액면가와 동일한 금액의 달러가 준비금으로 담보돼야 한다고 규정합니다.

 

해당 법안이 통과되면 미국 회사가 발행하는 스테이블코인이 힘을 받을 전망입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직간접적으로 가상자산 시장에 개입하는 것을 두고 미국 정치권에서는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과 관련된 회사인 월드리버티파이낸셜(WLFI)은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인 'USD1'을 이더리움과 BNB체인에서 배포했습니다. 총 발행 예정량은 약 350만 달러 규모입니다. 민주당 의원들은 '트럼프 대통령과 그의 가족이 WLFI의 지분 60%를 보유하고 있어 이해 충돌 가능성이 크다'라고 지적했습니다.

 

지니어스법안(GENIUS Act) 을 통과
연합뉴스

 

2. 내년 예산 첫 700조…AI·반도체 지원 총력

https://www.mk.co.kr/news/economy/11273178

 

내년 예산 첫 700조…AI·반도체 지원 총력 - 매일경제

2026년 예산편성지침 발표내수진작·美관세대응 강화초고령사회 복지지출 늘어재량지출 10%이상 구조조정

www.mk.co.kr

내년 정부 예산이 사상 처음 700조 원을 돌파할 전망입니다. 트럼프발 관세전쟁을 비롯한 글로벌.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해 첨단산업에 대한 지원을 대폭 강화할 방침입니다.

 

다만 초고령사회 진입으로 복지 관련 의무지출이 급증하고 있어 정부는 재량지출을 10% 이상 줄여 과도한 국가부채 증가에 대응하기로 했습니다. 내년 정부 예산 편성 방향의 핵심은 내수 등 민생회복과 첨단산업 지원입니다. 내수 회복은 민생경제 안정을 위한 필수 과제이며, 청년과 고령층 일자리 확충도 시급합니다.

 

3. 잘 고르면 예금이자 3배 다가오는 벚꽃 배당 시즌

https://www.mk.co.kr/news/stock/11273242

 

잘고르면 예금이자 3배 다가오는 벚꽃 배당 시즌 - 매일경제

광주신세계·동국씨엠 등배당수익률 최대 7% 넘어배당락일 주가 급락 유의

www.mk.co.kr

금융당국이 배당 선진화 정책을 도입해 배당금을 먼저 알고 주식을 매수하는 게 가능해지면서 3월 말부터 4월 초를 배당기준일로 정한 기업들이 잇달아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에 배당금을 노리고 배당기준일 직전에 이들 기업을 전략적으로 매수하는 투자 방식도 가능해졌습니다. 반면 배당락일에 주가가 급락할 수도 있는 만큼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4. "비트코인 50만 개 모았다" MSTR 주가 쑥

https://www.mk.co.kr/news/stock/11273268

 

"비트코인 50만개 모았다" MSTR 주가 쑥 - 매일경제

스트레티지 2주새 40% 올라트럼프 상호관세 완화 기대에코인 가격 반등해 주가 '탄력'일각선 고평가 우려 나오기도주가매출비율 나스닥의 33배

www.mk.co.kr

세계에서 가장 많은 비트코인을 보유한 기업 '스트레티지(MSTR)'의 비트코인 개수가 50만 개를 넘어섰습니다. 이는 비트코인 보유한 가상자산 거래소나 현물 상장지수펀드(ETF)를 운용하는 자산 운용사 등을 제외하면 가장 많은 비트코인을 가진 상장사입니다.

 

스트레티지의 재무적 목표는 비트코인 수익률입니다. 이 수치는 보유한 비트코인 개수를 주식 수로 나눈 값의 증가율입니다. 즉 스트레티지의 목표는 비트코인 개수를 최대한 늘리는 것이며, 올해 목표 수익률은 25%입니다. 비트코인 가격이 상승하면 스트레티지가 보유한 자산의 가치도 증가하는데, 그 속도를 높이는 전략인 셈입니다.

 

5. 美 국채금리 급등에 국내 국고채도 들썩

https://www.mk.co.kr/news/stock/11273188

 

美 국채금리 급등에 국내 국고채도 들썩 - 매일경제

트럼프 관세 불확실성 완화에美 10년물 금리 한달새 최고韓채권 금리도 상승압력 커져

www.mk.co.kr

미국 국채 금리가 급등한 가운데 국내 국고채 금리도 소폭 상승하고 있습니다. 미국 기준금리가 당분간 동결될 것이란 전망에 위험자산 선호심리가 강해진 영향입니다. 채권 시장에선 금리 상승 압력이 커지는 분위기입니다.

 

채권수익률은 가격과 반대로 움직입니다. 수익률이 올랐다는 것은 채권 가격이 하락했다는 의미입니다. 미국채 가격이 떨어진 것은 미국 행정부의 관세에 대한 불확실성과 부담이 줄어든 영향으로 보입니다.

 

6. "토허제 해당 안된대" 경매 법원 북적

https://www.mk.co.kr/news/realestate/11273141

 

"토허제 해당 안된대" 경매 법원 북적 - 매일경제

토허제 실거주의무·전세 금지경매 낙찰 받으면 적용안돼강남3구·용산구 낙찰가율3월에 100% 넘기며 '후끈'내달 반포 아리팍 등 나와투자자들 관심 가져볼만

www.mk.co.kr

이번 주부터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와 용산구의 아파트가 토지거래허가제 적용 대상이 된 가운데 벌써부터 서울 부동산 경매시장의 열기가 뜨겁습니다.

 

토허제 지역이라 해도 경매로 낙찰받은 경우 실거주 의무가 사라지고, 시세보다 저렴하게 낙찰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른 풍선 효과로 서울 외곽 지역에서도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이 100%를 넘기는 사례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7. 3기 신도시 토지보상금 올해 6천억 풀린다

https://www.mk.co.kr/news/realestate/11273146

 

3기신도시 토지보상금 올해 6천억 풀린다 - 매일경제

작년 2조4천억보다는 줄어남양주왕숙·인천계양 등대토수요에 땅값은 들썩일듯

www.mk.co.kr

경기 고양창릉과 하남교산 등 3기 신도시 5곳에 대한 토지 보상금이 총 21조 원을 웃돌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이 중 올해 총 6000억 원의 보상이 집행될 전망입니다. 지난해 이뤄진 보상금 2조 4000억 원보다는 크게 줄어든 수치이지만 주변 땅값은 대토 수요로 상승할 것으로 보입니다.

 

문제는 예정된 토지 보상 절차보다 시기가 늦어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하남교산은 원래 올해 첫 입주를 목표로 삼았지만 토지주들이 보상금을 더 높게 책정해야 한다고 반발하면서 지난해 말에야 착공에 들어갔습니다. 남은 3기 신도시 3곳의 토지 보상과 관련해서도 일부 주민의 반대가 아직 이어지고 있어 이들을 설득해 주택 공급 속도를 높이는 것이 핵심과제입니다.

 

8. “집값 담합 제보하면 2억 원”… 서울시 뒤늦은 ‘투기와의 전쟁’

https://www.mk.co.kr/economy/view.php?sc=50000001&year=2025&no=201400

 

“집값 담합 제보하면 2억원”…서울시 뒤늦은 ‘투기와의 전쟁’

서울시가 지난 2월~3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발생한 부동산 거래질서 교란행위에 대해 집중 수사에 나선다고 25일 밝혔다. 서울시는 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통해 특정가격 이하로 중개를

www.mk.co.kr

서울시가 지난 2~3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발생한 부동산 거래질서 교란행위에 대해 집중 수사에 나선다고 25일 밝혔습니다. 

 

서울시는 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통해 특정 가격 이하로 중개를 의뢰하지 않도록 유도하거나 중개업소에 시세보다 높게 표시.광고하도록 요구하는 등 시세에 부당한 영향을 주는 집값 담합 행위를 중점 수사 중입니다. 허위 거래신고 등 부동산 거래질서 교란행위는 3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 벌금이 처해집니다.

 

한편 부동산 불법행위를 발견하거나 피해를 입은 시민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과 서울시 응답소 등에서 부동산 불법행위를 신고하면 됩니다. 결정적 증거와 함께 범죄 행위를 신고해 공익 증진에 기여하면 포상금으로 최대 2억 원을 지급합니다.

 

오늘의 내용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풍요로운 부를 누리며 부자가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