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2025년 2월 20일 오늘의 경제뉴스 주요 내용을 공유해 드리겠습니다.
1. 쌓이는 악성 미분양에 … 文정부 때 없앤 '임대사업자' 부활
https://www.mk.co.kr/news/realestate/11245158
쌓이는 악성 미분양에 … 文정부때 없앤 '임대사업자' 부활 - 매일경제
정부, 건설경기 부양·미분양 해소 대책준공후 미분양 증가폭 가팔라지방 1만7000곳…1년새 2배건설사 줄도산·일자리 직격탄LH, 15년만에 미분양 직매입'매입형 등록임대' 대상 확대지방 6억이하
www.mk.co.kr
정부가 15년만에 지방 미분양 아파트를 직접 매입하기로 한 건 준공 후 미분양 증가세가 심상치 않기 때문입니다. 쌓이는 악성 미분양에 지방 건설사들이 줄줄이 도산하자 문재인 정부 때 폐지한 민간 등록임대 정책도 다시 꺼냈습니다. 하지만 건설 업계가 요구해온 세제.금융혜택은 이번 대책에 포함되지 않아 얼어붙은 지방 부동산 시장을 녹이기에 역부족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LH가 분양가보다 낮은 수준으로 지방 미분양을 매입하고, 비아파트에만 허용된 매입형 등록임대 대상도 확대할 방침입니다. (매입형 등록임대: 민간 임대사업자가 기존 주택을 사들여 임대주택으로 내놓는 유형, 종합부동산세 합산 배제, 양도소득세 중과 배제 같은 혜택을 누릴 수 있음.)
2. 한은 "韓주력산업 빨간불"… 美관세폭탄 터지면 車수출 9兆 타격
https://www.mk.co.kr/news/economy/11245155
한은 "韓주력산업 빨간불"… 美관세폭탄 터지면 車수출 9兆 타격 - 매일경제
8대 산업 모니터링 보고서반도체, 中 저가공세에 시달려낸드 가격은 고점 대비 반토막자동차산업 美보호주의 직격탄25% 관세땐 수출 -18%분석도석화·철강도 업황 악화 불보듯슈퍼사이클 조선업
www.mk.co.kr
'트럼프 관세폭탄'이 본격화할 경우 주력 산업 수출에 큰 타격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에 25% 관세 부과 방침으로 당장 수출액이 65억 달러(약 9조 원)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옵니다.
19일 한국은행이 펴낸 '주력 산업 모니터링 보고서'에 따르면 슈퍼사이클에 진입한 조선과 신제품 효과가 기대되는 휴대폰을 제외한 모든 주력 업종 전망이 부정적입니다.
3.‘4.3조 투입’ 철도 지하화 ‘첫 타자’ 부산·대전·안산…착공은 일러야 2029년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5021902109963079005
‘4.3조 투입’ 철도 지하화 ‘첫 타자’ 부산·대전·안산…착공은 일러야 2029년
부산과 대전, 안산이 철도 지하화 사업 선도지역으로 선정됐다. 대상 구간은 부산진역..
www.dt.co.kr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9일 열린 민생경제점검회의에서 '지역 건설경기 보완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투자 활성화를 위해 지역 개발 사업을 확대한다며 안산.부산.대전에서 철도 지하화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습니다.
1조 5000억원을 투입해 안산선이 지나는 초지역~중앙역 구간 5.1km 철로를 지하화합니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상반기 중 이들 3곳에 대한 기본계획을 수립할 예정입니다. 다만 실제 자금이 집행되기까지 최소 3년 이상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4. 부실채권 돈 된다 … 거래액 역대 최대
https://www.mk.co.kr/news/economy/11245134
부실채권 돈 된다 … 거래액 역대 최대 - 매일경제
건전성 관리 비상걸린 은행지난해 NPL 8조 넘게 매각경기 침체로 시장 계속 커져하나·우리금융 사업 확장신협·새마을금고도 가세
www.mk.co.kr
어려워진 경기 상황에 부실채권(NPL.고정이하여신) 관련 사업 규모가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부실채권 사업을 하는 기업들의 투자 집행 실적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금융사는 3개월 이상 연체된 고정이하여신을 장부상에서 지워버리는 '상각'이나 헐값에 넘기는 '매각'을 통해 부실채권 비율을 낮춥니다.
상호금융, 저축은행 등 2금융권까지 부실채권 전무사 육성에 나서며 부실채권 산업이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5. 딥시크 쇼크후…AI전력주 韓 뛰고 美 뒷걸음
https://www.mk.co.kr/news/stock/11245077
딥시크 쇼크후…AI전력주 韓 뛰고 美 뒷걸음 - 매일경제
AI 인프라株 국가별 차별화韓 전력망확충법 처리 속도LS일렉 한달새 28% 껑충올들어 급등하던 美 전력주저전력 AI 등장에 맥못춰"반덤핑 관세 불확실성 유의"
www.mk.co.kr
고효율, 저전력의 딥시크가 공개되면서 주가가 급락했던 인공지능(AI) 전력주들이 국가별로 다른 회복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 전력기기주들은 대부분 딥시크 공개 전의 주가 수준을 회복하거나 오히려 큰 폭으로 오른 반면 미국 전력 관련주들은 여전히 부진한 상태입니다.
LS일렉트릭은 한 달 새 28.76% 상승, 효성중공업은 한 달 전보다 3.65% 상승, 일진전기도 1.12%가 올랐습니다.
6. "증시 꺾일때 됐는데…" 속 타는 곱버스 개미들
https://www.mk.co.kr/news/stock/11245078
"증시 꺾일때 됐는데…" 속타는 곱버스 개미들 - 매일경제
코스피 7일연속 상승 이어가이달 곱버스에 3300억 베팅
www.mk.co.kr
코스피 상승세가 주춤할 것으로 내다보고 '곱버스' 상품을 대거 사들인 개인투자자의 손실이 누적되고 있습니다. 2023년 이후 처음으로 코스피가 7거래일 연달아 오르면서 일주일 만에 10%가 넘는 손실이 발생했습니다. 개인투자자들은 코스피의 하락 전환을 기대하면서 연일 수백억 원어치를 사들이는 '지수 플레이'를 펼치고 있습니다.
(곱버스: '곱하기'와 '인버스'를 합친 말로, 주가지수가 하락할 때 수익을 주는 인버스 상품의 가격변동폭이 2배로 움직이는 상품을 뜻함/ 지수 플레이: 특정 주식 시장 지수를 매수하거나 매도하는 것. 지수 트레이딩이라고도 함.)
7. 수수료가 갈랐다 … 글로벌 ETF 왕좌 교체
https://www.mk.co.kr/news/stock/11245084
수수료가 갈랐다 … 글로벌 ETF 왕좌 교체 - 매일경제
S&P500추종 '최대 ETF' SPY보수 3분의1 VOO에 1위 내줘국내 운용도 수수료 경쟁 치열지수추종 ETF 보수 속속 인하
www.mk.co.kr
상장지수펀드(ETF) 세계 챔피언이 바뀌었습니다. ETF 투자자들이 운용 보수가 비싼 SPDR S&P500(SPY) 대신 뱅가드 S&P500(VOO)으로 갈아탔기 때문입니다. 세계 최고의 ETF 상품인 SPY는 1993년에 출시돼 올해로 32주년을 맞이했습니다. VOO는 2010년 출시돼 SPY보다 17년 늦게 등장한 후발주자입니다. 하지만 순위를 뒤집게 만든 건 수수료입니다.
VOO의 총보수는 0.03%로 SPY의 0.0945%보다 저렴합니다. 두 ETF가 같은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만큼 비용 차이는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8. 잘나가는 소비재株 … 월마트 한 달 새 10% 쑥
https://www.mk.co.kr/news/stock/11245082
잘나가는 소비재株 … 월마트 한달새 10% 쑥 - 매일경제
견고한 소비에 호실적 기대감핀테크 어펌홀딩스 40% 급등음식배달 도어대시 19% 올라
www.mk.co.kr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7개월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는 등 견고한 소비 분위기가 이어지면서 소비재 종목들 투자심리도 살아나고 있습니다. 미국의 대표 소비재주인 월마트(WMT)는 최근 한 달 동안 11% 올랐고, 지난 6개월간 40% 오르는 등 우상향 하고 있습니다. 지난 13일(현지시간) 주가가 105.05 달러를 기록하면서 52주 최고가를 경신하기도 했습니다.
음식배달 플랫폼 도어대시(DASH)도 한 달 새 19% 올랐습니다. 이 밖에 미국의 소비와 연결되는 핀테크 기업 어펌홀딩스(AFRM)의 주가 역시 한 달 새 43% 가까이 올랐습니다.
9. 네이버 제친 두산 … 원전 열풍에 시총 10위
https://www.mk.co.kr/news/stock/11245025
네이버 제친 두산 … 원전 열풍에 시총 10위 - 매일경제
두산에너빌 원전수출 기대올해 들어 주가 65% 급등삼성 로봇사업 진출 효과에밥캣·로보틱스도 크게 올라네이버는 '강달러 영향' 약세
www.mk.co.kr
두산그룹의 상장사 시가총액이 처음으로 네이버를 제치고 10위에 올랐습니다. 국내 증시에서 원전.로봇 관련주가 높은 상승세를 보이며 두산그룹 계열사 시가 총액이 늘어난 덕분입니다. 이러한 변화의 일등 공신은 단연 두산에너빌리티입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중동, 북미, 유럽 등 해외 원전 수출에 대한 기대감으로 올해 첫 거래일 대비 시가 총액이 무려 65.28% 상승했습니다.
10. 래대팰 40억·리센츠 30억…자고나면 대치·잠실 신고가
https://www.mk.co.kr/news/realestate/11245008
래대팰 40억·리센츠 30억…자고나면 대치·잠실 신고가 - 매일경제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후거래건수는 되레 줄었는데매물귀해 팔릴때마다 올라과열 우려 서울시 '화들짝'담합 행위 집중단속 나서"계속 오를지는 지켜봐야"
www.mk.co.kr
서울시가 잠실, 삼성, 대치, 청담동 일대 291개 아파트에 적용됐던 토지거래허가제(토허제)를 해제하면서 강남 3구를 중심으로 집값이 들썩이고 있습니다. 매도인들은 기존 매물을 거둬들이거나 호가를 많게는 3억원까지 올려 내놓은 분위기입니다. 강남구 대치동의 래미안대치팰리스 전용 84가 지난 13일 40억원에 거래돼 신고가를 기록했습니다.
토허제 해제의 영향은 단기적으로 더 커질 전망입니다. 실거주 의무 조건이 사라지면서 갭투자가 가능해졌고, 특히 전세가율이 높은 새 아파트들의 경우 레버리지를 활용한 투자 수요가 유입될 가능성이 큽니다.
11. 성수동 삼표자리에 77층 마천루, 내년 착공
https://www.mk.co.kr/news/realestate/11245007
성수동 삼표자리에 77층 마천루, 내년 착공 - 매일경제
서울시, 사업자와 협상 완료업무·숙박시설 등 복합 개발부르즈칼리파 설계사가 맡아공공기여로 창업허브 조성해
www.mk.co.kr
45년간 레미콘 공장이 들어서 있던 서울 성동구 성수동 삼표레미콘 공장 용지가 77층 초고층 랜드마크로 개발됩니다. 서울 시내 업무.관광.문화와 창업 생태계를 이끄는 글로벌 미래산업 거점으로 만들겠다는 서울시의 구상입니다. 이를 위해 제1종 일반주거지역에서 일반상업지역으로 용도지역을 상향했습니다.
시는 상반기 중 '서울숲 일대 리뉴얼 마스터플랜 공모'를 통해 서울숲과 주변 지역에 대한 아이디어를 받아 사업 실현 방안도 구체화할 예정입니다.
12. 고양창릉, 사전청약자 30% '포기'… 일반 물량 764 가구 확정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1944076
고양창릉, 사전청약자 30% '포기'…일반 물량 764가구 확정
고양창릉, 사전청약자 30% '포기'…일반 물량 764가구 확정, "3년 만에 1억원 오른 분양가 부담" 포기 물량은 일반청약으로 전환
www.hankyung.com
3기 신도시인 고양창릉 사전청약이 시작된 가운데 사전청약자 10명 중 3명은 본청약을 포기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공사비 상승으로 분양가가 급등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고양창릉 공공택지지구는 경기 고양시 덕양구 원흥동.동산동 등 일원에 789㎡ 규모로 조성되는 3기 신도시입니다.
이번 사전청약당첨자 포기 물량이 나오면서 A4, S5, S6블록의 일반분양 물량은 기존 391가구에서 764 가구로 늘었습니다.
이번 본청약을 받은 고양 창릉지구 3개 블록을 살펴보면 인근 일산신도시와 비교했을 때 서울 접근성이 더 우수합니다. 우선 대곡역, 킨텍스역보다 창릉역이 각각 1~2개 정거장만큼 서울에 더 가깝습니다. 또 일산에서 GTX를 이용하려면 서울지하철 3호선인 백석역과 마두역 등 다른 교통수단을 이용해야 하지만 이번 창릉지구 단지들은 창릉역이 도보거리입니다.
창릉역은 지구 내 화랑교차로 인근에 세워질 예정인데, 3개 단지와 직선거리로 1km 안팎입니다. 네이버 지도 기준으로 A4블록은 창릉역까지 걸어서 13분, S5블록과 S6블록은 각각 16분과 23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사전청약을 진행한 다른 블록보다도 창릉역과 가까운 편입니다. (출처: news.bizwatch.co.kr/article/real_estate/2025/02/10/0043)
오늘의 내용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뉴스] 부동산 표심잡기 '상속세 18억 공제' '재건축.재개발 촉진법' (2) | 2025.02.23 |
---|---|
[경제뉴스] 6월부터 안전진단 없이 30일 이내 재건축 시작 (0) | 2025.02.21 |
[경제뉴스] 강남 슈퍼리치 미국 채권 대량 매집 1조 원 넘어 (0) | 2025.02.19 |
[경제뉴스] 월급쟁이 직장인 작년 근로소득세 비중 (4) | 2025.02.18 |
[경제뉴스] 팰런티어 한 달 80% 급등 월가에서 거품론 제기 (0) | 20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