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2025년 4월 26일 오늘의 경제뉴스 주요 내용을 공유해 드리겠습니다.
1. 李 주택정책은 '규제 대신 공급'… 4기 신도시 하남감일 등 거론
https://www.mk.co.kr/news/politics/11301963
李 주택정책은 '규제 대신 공급'… 4기신도시 하남감일 등 거론 - 매일경제
이재명, 부동산 공약도 우클릭文정부 실책 반면교사로 삼아수도권 그린벨트 풀어 신도시도심재건축 문턱낮춰 '투트랙'용적률 높여 임대주택 늘릴듯세제관련 "손대지않는게 좋다"국토보유세도
www.mk.co.kr
25일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부동산 공약이 윤곽을 드러냈습니다. 일단 선제적 물량 공급과 재건축.재개발 활성화를 통한 공공주택 확대라는 '투트랙'으로 축약됩니다.
우선 청년.신혼부부 등을 겨냥한 지분적립형 분양주택이나 토지 임대부 분양주택 등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입니다. 만약 이재명 정부가 들어선다면 해당 입지를 4기 신도시로 명명하고 추가 후보지도 발표할 가능성이 큽니다.
또한 재건축.재개발 사업성을 높이겠다고 말한 점도 주목할 대목입니다. 그간 규제에 무게를 실었던 것과는 사뭇 다른 입장입니다. 다만 용적률 상향과 분담금 완화 등 혜택을 주는 대신에 공공기여가 필요하다는 것을 분명히 했습니다.
2. '분양가 정상화' 내건 국힘 … 빅4 역시 '재초환 완전 폐지' 공감대
https://www.mk.co.kr/news/politics/11301964
'분양가 정상화' 내건 국힘 … 빅4 역시 '재초환 완전 폐지' 공감대 - 매일경제
국민의힘 부동산 대선공약은용적률·건폐율 상향에이어경선 후보들도 공약화 가닥"李, 국민여론 답하라" 압박
www.mk.co.kr
국민의힘은 신규 아파트에 대해 용적률과 건폐율 규제 완화를 최근 약속한 데 이어 25일에는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폐지를 공약화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또한 진보 정권에서 도입했던 각종 부동산 규제를 대대적으로 혁파하는 쪽으로 차별화를 시도하는 모습입니다.
재초환은 재건축을 통해 조합원이 평균 8000만 원 이상의 개발 이익을 얻으면 정부가 초과 금액의 최대 50%를 부담금으로 환수하는 제도입니다.
3. "中, 美 반도체 125% 관세 철회"
https://www.mk.co.kr/news/world/11301953
"中, 美 반도체 125% 관세 철회" - 매일경제
CNN 보도 … 8개 품목 대상中 "상황 모른다" 즉답 피해트럼프 "習 전화받았다" 주장
www.mk.co.kr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관세 인하 가능성을 시사한 가운데, 중국도 일부 품목에 대한 최대 125%의 보복관세를 이미 철회했거나 철회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양국이 경제 타격을 우려해 한 발씩 물러나 미.중 무역전쟁이 전환점을 맞을지 주목됩니다. 다만 중국 당국은 관세 면제 사실에 대한 공식 논평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4. 1분기 순익 5조 … 4대금융 사상최대 실적
https://mkbn.mk.co.kr/news/economy/11301920
1분기 순익 5조 … 4대금융 사상최대 실적 - MK빌리어드
홍콩ELS 배상금 기저 효과에은행·보험사 이익 크게 늘어전년동기 대비 순익 16% 증가경기부진에 카드사는 실적악화대출 축소·희망퇴직 비용 증가우리금융, 순익 25% 줄어들어
mkbn.mk.co.kr
KB.신한.하나.우리금융 등 4대 금융그룹이 지난 1분기 역사상 최대치인 5조 원에 육박하는 당기순이익을 기록했습니다.
금융권에서 오는 6월 대통령 선거 이후 정치권의 상생금융 압박이 거세질 것으로 관측하고 있습니다. 다만 보험사 인수를 앞둔 우리금융은 건전성 관리에 고삐를 죄며 순이익 규모가 감소했습니다.
5. 구글 "AI투자 지속"에…한미일 반도체주 일단 반등
https://www.mk.co.kr/news/stock/11301978
구글 "AI투자 지속"에…한미일 반도체주 일단 반등 - 매일경제
구글, 온라인 광고 성장세에1분기 매출 시장예상 웃돌아아마존·엔디비아 등 빅테크"데이터센터 투자둔화 없다"하이닉스·도쿄일렉트론 들썩하반기 침체 우려는 걸림돌관세 불확실성도 주시해
www.mk.co.kr
구글, 인텔 등 미국 주요 기술주들이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올 1분기 실적을 받아 들면서 매크로 이슈로 움츠렸던 주가가 상승 흐름을 타는 모습입니다.
미국 반도체주 호실적을 바탕으로 한국과 일본 반도체주도 강세를 보였습니다. 다만 상호관세 우려가 아직 불식되지 않으면서 이들 반도체주의 2분기 전망이 밝지 않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6. SKT, 4100억대 카카오지분 전량 매도
https://www.mk.co.kr/news/it/11301977
SKT, 4100억대 카카오지분 전량 매도 - 매일경제
브로드밴드 인수 자금 확보AI 등 신성장사업 투자위해물량폭탄에 카카오주가 급락
www.mk.co.kr
SK텔레콤이 보유 중이던 카카오지분 전량을 매각했습니다. SK브로드밴드를 완전 자회사로 편입하기 위해선 1조원이 넘는 자금이 필요한데 카카오 지분 매각을 통해 일부 재원을 충당하는 것입니다.
이 소식의 여파로 유가증권시장에서 카카오는 전일 종가 대비 3.8% 하락한 3만 7950원으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또한 외국인투자자가 1224억원어치를 순매도하며 하락세를 이끌었습니다.
7. 국민연금만으론 은퇴후 팍팍?… 주택연금 활용하면 노후생활 걱정 없죠
https://www.mk.co.kr/news/economy/11301829
국민연금만으론 은퇴후 팍팍?…주택연금 활용하면 노후생활 걱정없죠 - 매일경제
노후 대비·증여상속 가이드초고령화 시대 주택연금 주목가입자14만명 月150만원 받아올해부턴 목돈 인출 가능해져
www.mk.co.kr
주택연금이란 주택 소유자가 집을 담보로 제공하고, 내 집에 살면서 평생 매월 노후생활자금을 받는 국가 보증의 금융상품입니다. 금융 관계자는 노후 자금이 당장 부족하다면 부동산을 유동화해 병원비, 생활비 등으로 쓸 수 있게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부동산 현금화가 어려운 집은 주택연금을 적극 고려하여 집값이 괜찮을 때 주택연금에 가입해 연금을 받는 것도 방법이라고 업계에서는 말합니다.
오늘의 내용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뉴스] 올해 1분기 서울 주택 월세 비중 역대 최고 '전세의 월세화' (3) | 2025.04.29 |
---|---|
[경제뉴스] '임대용 부동산 시장' 불황에 대출 감소 (2) | 2025.04.29 |
[경제뉴스] '세종시 이전 공약' 세종시 집값.거래량 상승세 (1) | 2025.04.25 |
[경제뉴스] 옥상 태양광 강행하는 정부 '건설공사비 증가' '분양가 상승' 우려 (2) | 2025.04.25 |
[경제뉴스] '2억 이하 지방 주택' 취득세 중과 기준 완화 및 주택 수 제외 (1)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