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2025년 3월 17일 오늘의 경제뉴스 주요 내용을 공유해 드리겠습니다.
1. 보험사가 이런 사업도 한다고?…요양 업무에 반려동물 관리까지
https://www.mk.co.kr/news/economy/11265369
보험사가 이런 사업도 한다고?…요양 업무에 반려동물 관리까지 - 매일경제
금융위 보험개혁회의 보험사, 신사업 진출 통해 떨어진 수익성 개선 기대 소비자 보장도 충실해질듯 보험 사회안전판 역할 강화 장수하면 보험금 더 주고 사망보험금 생전활용도 허용
www.mk.co.kr
보험사가 요양, 건강관리, 반려동물 등 신사업을 적극 개척할 수 있게 됩니다. 금융당국이 보험사가 자회사로 영위 가능한 사업 범위를 넓혀주었기 때문입니다.
당국은 인구구조 급변을 보험산업이 당면한 시급 과제로 보고 있습니다. 2050년 이후에는 고령인구 비중이 40%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면서 소비자들의 기존 보험 상품에 대한 수요도 위축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보험사의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보험사가 지속 가능한 사업 모델을 가지고 있어야 소비자에 대한 보장도 충실하게 할 수 있습니다.
2. 러·우크라 휴전 논의에 … 재건株 시간 온다
https://www.mk.co.kr/news/stock/11265031
러·우크라 휴전 논의에 … 재건株 시간 온다 - 매일경제
우크라 복구에 1000조원 소요초대형 토건 장세 전망 커져철강기업 아르셀로미탈 급등올해 들어 32% 넘게 상승美 GE버노바·에이컴도 주목
www.mk.co.kr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휴전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다시 '우크라이나 재건주'의 시간이 오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재건에 소요되는 예산만 1000조원이 넘는다는 분석과 함께 유럽의 재건주들은 이미 주가 상승폭이 확대됐습니다.
미국의 인프라스트럭처 등 재건 관련 기업들은 실적 개선 기대감으로 연초 급등락을 반복한 뉴욕증시에서 새 모멘텀을 만들어낼 것으로 전망됩니다.

3. 휘청대는 美증시 손절할때? 15번중 13번은 1년내 회복
https://www.mk.co.kr/news/stock/11265032
휘청대는 美증시 손절할때? 15번중 13번은 1년내 회복 - 매일경제
S&P지수 1년만에 조정장 진입3~4개월 지속 후 반등 가능성조정장 1년뒤 41% 오른 적도
www.mk.co.kr
지난해 강세를 보였던 S&P500지수는 343거래일 만에 조정장에 진입했습니다. 조정장은 하락장의 일종으로, 최대 낙폭(MDD)이 10% 이상인 경우를 말합니다. 하지만 이번 조정장이 '약세장(bear market)으로 이어지기는 쉽지 않다는 전망도 나옵니다.
미국의 자산운용사에 따르면 약세장으로 이어지지 않는 조정장은 평균 3~4개월 지속된다며 조정장이 찾아와 시장이 혼란에 빠져도 당황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4. 알트코인 외면하는 투자자 … 비트코인 쏠림 심화
https://www.mk.co.kr/news/stock/11265035
알트코인 외면하는 투자자 … 비트코인 쏠림 심화 - 매일경제
트럼프 랠리 끝나도 매수세올들어 점유율 60%로 높아져이더리움·솔라나는 크게 줄어밈코인 가격폭락에 투심 꺾여
www.mk.co.kr
올해 가상화폐(코인) 하락장에서 비트코인과 스테이블코인은 점유율을 높였으나, 알트코인은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평가를 받는 '디지털 금' 비트코인, 기축 통화인 달러화와 연동된 스테이블코인에 자금이 몰린 것으로 분석됩니다.
또한 전체 가상자산 규모는 작년 말 3조 3900억 달러에서 16일 기준 2조 8400억 달러로 20% 가까이 줄었습니다. 가상자산 분석업체 매트릭스포트는 시장의 하락 원인으로 거시경제 변화를 지목했습니다.
5. 더 오른 '한강뷰' 가치 … 1년새 50% 뛰었다
https://www.mk.co.kr/news/realestate/11264935
더 오른 '한강뷰' 가치 … 1년새 50% 뛰었다 - 매일경제
조망 따라 달라진 공시가격반포 아리팍 층수별 가격差5.3억서 7.6억원으로 올라재건축 자산 감정평가 때한강조망 가치 반영 요구↑
www.mk.co.kr
'아파트 조망권'의 가치가 갈수록 높게 평가받고 있습니다. 한강이 보이거나 개방감이 있는 아파트의 같은 동, 같은 평형이지만 층수에 따라 공시가격 격차가 7억 6500만원까지 벌어졌습니다.
공시가격은 정부가 조사하는 부동산 가격으로, 종합부동산세와 재산세 등 각종 세금의 기준이 됩니다. 매년 공시가격은 전년도 시세를 반영해 정해집니다. 1년 사이 한강변과 비한강변, 고층과 저층 단지 간 공시가격이 이처럼 벌어진 건 시세 차이가 커졌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6. '재건축 대장주' 대치 미도아파트, 최고 50층으로
https://www.mk.co.kr/news/realestate/11264937
'재건축 대장주' 대치 미도아파트, 최고 50층으로 - 매일경제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 통과2436 → 3914가구로 탈바꿈
www.mk.co.kr
서울 강남구 대치동 재건축 대장주로 꼽히는 대치미도 아파트가 최고 50층, 3914가구로 탈바꿈합니다.
1983년 준공된 노후 아파트인 대치미도 아파트는 현재 총 25개 동, 2436가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중대형 평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미 대단지 조건까지 갖춰 대치동 재건축 '대장주'로 평가받습니다. 3호선 대치역이 도보권이고 양재천과도 접해있습니다. 단지 안에 대곡 초등학교까지 위치해 학군지 강점도 갖추고 있습니다.
7. 토지거래허가 해제 한달만에 잠삼대청서 거래 72% 늘었다
https://www.mk.co.kr/news/realestate/11264939
토지거래허가 해제 한달만에 잠삼대청서 거래 72% 늘었다 - 매일경제
서울 2월 거래 5000건 돌파부동산시장 다시 들썩이자'세계 2위' 가계빚 관리 비상
www.mk.co.kr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반년 만에 5000건을 돌파했습니다. 서울시가 지난달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동) 지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한 뒤 강남권뿐만 아니라 마용성 지역까지 매수세가 올라오면서부터입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효과는 강남권뿐만 아니라 비강남 지역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부동산 시장이 다시 살아날 조짐을 보이면서 가계대출 관리에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오늘의 내용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뉴스] 건설사.지방 살리기 '다주택자 중과세 폐지' 드디어 나왔다 (0) | 2025.03.19 |
---|---|
[경제뉴스] 다주택 규제에 지쳐 새로운 '부동산 투자 전략' 등장 (4) | 2025.03.18 |
[경제뉴스] 국민연금 기금 고갈 시기 2064년으로 8년 미뤄 (2) | 2025.03.15 |
[경제뉴스] '공시가격 상승' 1주택자 종부세 대상 5만 가구 늘어 (0) | 2025.03.14 |
[경제뉴스] '상속세 개편' 실제로 받은 상속 재산에 대해 세율 과세 (0) | 2025.03.13 |